수평선, 생각

타이포그라픽(Typography)_영문자 5가지 스타일 본문

POSTING/지식 과부하

타이포그라픽(Typography)_영문자 5가지 스타일

SeaLine 2011. 2. 10. 18:42

- 구분기준은 시대에 의한 것이 아니라 세리프의 모양, 가로 획과 세로 획의 굵기 차이,
그리고 O,Q와 같은 원의 형태가 포함되어 있는 글자에서 확연하게 나타나는 글자의 기울기 등이다.




1. 올드 스타일 (Old style)

1495년 피에트로 벰보 (Pietro Bembo)가 글자 형태를 그리고
프란시스코 그리포 (Francesco Griffo)가 주조한 벰보(Bembo)체

1535년 클로드 개라몬드 (Claude Garamond)에 의해 주조된
개라몬드 (Garamond)체를 들 수 있다.

특징> 가로 획과 세로 획의 굵기의 차이가 심하지 않고
브래킷 세리프 (braketed serif)를 가지고 있음. 글자의 기준선이 기울어짐.

이외에 영국.윌리엄 캐슬론 (William Caslon)이 1720년~1726년에 걸쳐 디자인하고 주조한 캐슬론 (Caslon)체와
팔라티노 (Palatino), 플란틴 (Plantin)체, 가우디 (Goudy)체 등이 있다.




2. 트랜지셔널 스타일 (Transitional style)

1757년 영국인 존 바스커빌 (John Baskerville)이 디자인 한 바스커빌 (Baskerville)체

특징> 올드 스타일에 비해 가로 획과 세로 획 굵기의 차이가 심하고,
글자의 기준선은 거의 수직, 글자의 너비가 매우 넓어짐.

바스커빌체는 후에 1931년 영국의 The Times라는 신문을 위하여 스탠리 모리슨 (Stanley Morison)이
디자인 한 타임즈 뉴 로만 (Times New Roman)체로 거듭남.
>세리프의 모양이 짧으면서 명확하고 날카롭게 잘렸기 때문에 질이 떨어지는
종이에 인쇄되었을 때도 가독성이 뛰어남.





3. 모던 스타일 (Modern style)

1788년 이탈리아 잠바티스타 보도니 (Giambattista Bodoni)에 의해
제작된 보도니 (Bodoni)체.

특징>이전의 글자체가 펜으로 쓴 글자의 형태를 그대로 표현하고자 했던 반면
이 글자체는 인쇄상 특이한 모양이나 인위적으로 과장된 모양을 띄고 있지 않음.
이의 영향을 받은 글자체로 디도 (Didot)체가 있다.
가로와 세로 획의 굵기가 강한 대비를 이루고 있는 명쾌한 기하학적 성격의 글자체





4. 이집션 스타일 (Egption style)

1895년 Century라는 잡지를 위해 벤턴 (L.B.Benton)과 드 빈 (T.L.De Vinne)이 디자인한 센츄리체

특징>이전의 글자체에 비하여 가는 획의 굵기가 굵어짐으로써 지면이 조금 검게 보이기는 하지만
읽기에는 더욱 명료하고 편안한 형태를 가짐. 센츄리체에서 비롯된 센츄리 믹스펜디드 (Century Expended)체 와
센츄리 스쿨북 (Century Schoolbook)체

클라렌던 (Clarendon)체는 근대의 상업의 발달로 광고에 알맞는
강한 이미지의 글자 요구를 만족시켜 주는 글자체

클라렌던체를 변형시켜 독일에서 발표한 멤피스 (Memphis)체는 사각형의 세리프가 특징.
세리프의 모양 자체가 독특하고 강해서 운동 선수복에 쓰이는 번호에도 자주 등장.




5. 컨템포러리 스타일 (Contemporary style)

세리프가 없다고 하여 산세리프(sane serif)체 라고도 함.

헬베티카 (Helvetica)체는 스위스에 기원을 둔 현대적인 글자체로
산업 혁명 후 합리주의적, 기능주의적 표현이 글자에 반영된 대표적인 예.

특징>산세리프체가 등장한 것은 독일에서 디자인된 베르톨트 (Berthold)체 이지만
널리 사용된 것은 1960년 미국에 헬베티카체가 선을 보이면서다.


 


'POSTING > 지식 과부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인족 문명  (0) 2016.12.27
아포칼립스  (0) 2016.12.24
1:29:300 법칙 _ 하인리히 법칙  (0) 2010.10.22
슬로우 푸드 _ Slow Food  (0) 2010.10.21
피카소는 상상이 사실보다 진실하다고 믿었다.  (1) 2010.10.0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