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평선, 생각

파리대왕 / 윌리엄 골딩 - 인간 속의 무인도 본문

POSTING/책 읽으며 생각

파리대왕 / 윌리엄 골딩 - 인간 속의 무인도

SeaLine 2017. 5. 19. 16:34




#잭은 악한가?
<파리대왕>을 읽으며 처음에 들었던 생각은 랠프는 정의롭고 잭은 악하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한 번 더 생각해보면, 현실에서 랠프처럼 '넓은 시야'를 가지며 살아가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 어쩌면 잭도 많은 상처를 받았기 때문에 변했다는 생각이 든다. 잭이 권위적이고 위선적이긴 했지만 결정적으로 랠프와 공동체에 등을 돌린 건 자기가 한 일에 대한 무시와 그로인한 상실감 때문이지 않았을까. 오히려 '넓은 시야'의 랠프가 '좁은 시야'의 잭을 잘 이끌어주지 못한 책임도 있지 않을까. 어른들의 세계도 이런 감정이 상하는 관계가 항상 일어나고 있지 않은가.


#내재된 것
소라와 창, 불과 고기, 문명과 야만의 대립을 통해 공동체 속에서 인간 본성이 어떻게 양분되는지 보여주는 작품이다. 그리고 아이들 사이에서 '괴물'이라 불리는 근거 없는 공포와 그걸 이용하는 권력욕의 모습들은 전쟁시대의 독재자를 떠올리게 한다. 괴물(공포)를 대적하기위해 아이들이 만들어낸 파리대왕은 또 얼마나 추악한지... 당장 생존을 위해 고기에 쉽게 선동되고 내재된 공포에 흔들리는 아이들의 모습은 인간이 쾌락과 공포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우리 안에 내재되어 있지만 잘 느끼지 못하는 것들을 보여준다.


#마지막 눈물
마지막에 아이들이 우는 모습도 추상적인 의미가 많아 보인다. 보통은 랠프가 구조되고 잭과 그 일당들은 적절한 벌을 받길 원하지만, 마지막 다 같이 우는 모습을 통해 그렇게 안 될 수도 있다는 무거운 마음이 든다. 작가가 독자들에게 과제를 던지는 것일 수도 있지만 '바꿀 수 없음'을 내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로버스 동굴 공원 실험
1954년 오클라호마 대학 심리학과의 무자퍼 셰리프 교수가 한 실험. 가장 비슷한 아이 24명을 선발하여 각각 12명씩 두 그룹으로 나누고 이들을 일부러 분열시켰다가 다시 융화되는 과정을 연구할 계획이었다. 그런데 예상과 다르게 일부러 분열을 조장하지 않았음에도 두 그룹 간의 갈등은 커져갔고 결국 통제불능에 가까워지자, 조기에 융합단계를 밟아 종료시킨 실험이다. 
이 실험은 논문뿐만 아니라 책으로도 출판. 같은 해 소설가 윌리엄 골딩이 이 실험과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자신의 경험을 조합해서 [파리대왕]을 썼다고 한다.


#영화 파리대왕(1990)
책 자체도 아주 두꺼운 책이 아니고 단락단락 건너뛰는 느낌이 있다보니 영화도 그런 느낌이 많이 들었다. 아무래도 원작의 빈 칸을 상상력으로 채우지 않고 원작에 충실히 연출한 듯하다. 원작과 다르게 의식을 잃은 어른 승무원이 1명 등장하는데 특별히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는 잘 모르겠다. 일단은 책을 영상으로 볼 수 있었다는 점이 좋았고 아이들의 행동과 표정을 통해 표출되는 감정이 원작과는 색다른 느낌을 줬다. 








한쪽에는 사냥과 술책과 신나는 흥겨움과 솜씨의 멋있는 세계가 있었고, 

다른 한쪽엔 동경과 좌절된 상식의 세계가 있었다.










[참고글/관련글]


[관련영화]
  • 비치 : <블루 라군>(1980)에 윌리엄 골딩의 <파리 대왕>을 결합 했다는 평가를 받았던 영화. 대니 보일 감독, 디카프리오 주연.




Comments